한국의 아파트는 주거 형태의 대표이자 대부분 국민이 거주하는 공간이다.하지만 같은 아파트여도 신축 단지와 20~30년 이상 된 오래된 단지는 생활 쓰레기 처리 방식에서부터 큰 차이를 보인다.입주민이 매일 사용하는 쓰레기장은 단지의 청결도와 주거 만족도를 좌우하는 핵심 공간이지만,그 운영 시스템은 아파트의 건축 연도, 관리 방식, 주민 구성에 따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최근 입주가 시작된 신축 아파트 단지는 RFID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지하 쓰레기 슈트, 스마트 재활용함, 냄새 차단 밀폐형 구조 등최신 기술과 위생 설비가 반영된 첨단 분리수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반면,1990~2000년대에 지어진 노후 아파트는 야외 개방형 쓰레기장, 수동 분리수거, 공간 협소, 악취 문제 등다양한 불편과 위생 문제가..